전세 가계약을 마쳤다면 이제 전세대출을 신청할 차례다.
하지만 처음 전세대출을 신청하는 사회초년생이라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막막할 수 있다.
나는 월세에서 전세로 옮기면서 전세대출을 신청했고 한도가 더 많이 지원되는 ‘서울시 청년 이자지원 전세대출을 이용했다.
이 상품은 하나은행 전용 상품이고 금리는 현재 2%정도 된다.
원래 1%대 금리였는데 그 때 당시 신청했던 사람들은 2%로 금리가 오르면서 두 배의 이자를 내는 셈이 되어 불만이 좀 있기도 했다.
나는 뭐 이미 2%로 오르고 난 후에 신청하는 입장이라...버팀목보다 한도가 더 많이 나오는 것이 마음에 들었다.
이처럼 자신에게 맞는 전세대출 상품을 선택하는 것부터 서류를 준비하고 은행 방문 전까지의 과정을 차근차근 따라가면 어렵지 않게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다.
내 블로그에 1인가구 실전 메뉴를 보면 전세대출로 이사하기 시리즈로 글을 정리하고 있다.
내가 실제로 현재 살고 있는 집에 이사하면서 경험한 것들과 함께 정보를 풀어보고 있는데 읽어보면 괜찮을 것 같다.
이번 글에서는 전세 가계약 후 전세대출 신청을 위한 준비 과정을 사회초년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나에게 맞는 전세대출 상품 선택하기
은행마다 전세대출상품이 있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상품도 취급하고 있을 텐데 금리와 대출한도 그리고 내가 보유하고 있는 돈과 매 달 대출이자까지 계산해 보고 감당 가능한 수준인지 고려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다.
✔ 전세대출 상품을 선택할 때 고려할 점
✅ 대출 한도: 보증금의 몇 %까지 대출이 가능한지 확인
✅ 금리: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비교
✅ 상환 방식: 원리금 균등상환 vs 만기 일시상환
✅ 대출 가능 은행: 은행별 취급 상품 및 금리 차이 확인
✅ 정부 지원 여부: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대상 상품 확인
✔ 주요 전세대출 상품 예시
✅ 청년 전세대출 (서울시 청년 전세대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등)
✅ 일반 전세대출 (보증기관 보증을 통한 일반 은행 대출)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무주택자 대상 정부 지원 상품)
본인의 소득, 보증금, 신용등급에 따라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세대출 신청을 위한 필수 서류 준비
은행 방문 전에 필수 서류를 미리 준비하면 대출 진행이 훨씬 수월하다.
✔ 기본적으로 필요한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주민등록등본 (최근 1개월 이내 발급)
✅ 소득증빙 서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등)
✅ 재직증명서 (직장인 필수)
✅ 근로계약서 (계약직, 프리랜서 필수)
✅ 국민연금 가입내역 확인서 (직장인의 경우)
✔ 전세 계약 관련 서류
✅ 가계약서 (전세 계약 진행 중이라면 필요)
✅ 임대인의 신분증 사본 (일부 은행 요구)
✅ 등기부등본 (집주인이 실제 소유자인지 확인)
✅ 주택건축물대장 (대출 대상 주택인지 확인)
은행마다 요구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대출 진행 은행에 문의해 정확한 서류 목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대출 한도 및 금리 확인하기
대출을 신청하기 전,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한도와 금리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 대출 한도 및 금리 확인 방법
✅ 은행 상담: 대출 가능 여부와 한도를 먼저 상담
✅ 사전 심사 진행: 대출이 가능한지 미리 심사받기
✅ 이자 계산: 대출 금액과 금리에 따른 월 납입액 확인
나는 서울시 청년 전세대출로 보증금의 90%까지 대출을 받았고 나머지 10%는 자기부담금으로 충당해 계약을 진행했다.
전세 계약 전 마지막 체크리스트
대출 한도와 금리를 확인한 후,본격적으로 전세 계약을 진행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체크해야 할 것들이 있다.
✔️ 전세 계약서의 가계약금 반환 조건 확인
집주인에게 최대한 잘 말하고 설득하고 부탁을 해서 무조건 넣어두는 것이 좋고 문장을 꽤나 정확하게 구성해야 돌려 받을 수 있다.
나는 이 조항 없이 진행했는데 그 이유는 이전 포스팅에 가계약금 관련 글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찜해둠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집을 보러오지 못하게 되고 공백이 생긴 기간 동안의 집주인의 손해를 보전하기 위해 돌려주지 않는다고 하는데.....공감은 안 되지만 세상이 그렇게 돌아가고 있다니 내가 별 수는 없었다.
✔️ 내 대출 한도가 보증금의 몇 %인지 파악
보팀목은 일반 70%, 청년 80&, 서울시 이자지원은 90%를 받을 수 있지만 만 39세까지만 신청 가능하다.
✔️ 금리와 상환 방식을 비교하여 부담 없는 상품 선택
✔️ 필수 서류를 빠짐없이 준비했는지 확인
무조건 서류는 종류 별로 준비하는 것이 좋고 나는 건강보험내역부터 통장에 급여 입금내역, 원천징수영수증에 세무서에서 받을 수 있는 서류까지 다 준비해 갔다.
가족관계 증명서에 등본에 뭐....신분 확인 가능한 서류까지 진짜 꽤나 묵직하게 준비해 갔는데 필요 없는 서류들이라 돌려 받는 것들도 있었지만 서류 미비로 다시 방문하느니 한 방에 끝낼 수 있어서 좋았다.
이 과정이 끝나면 본계약을 진행한 후 은행에 방문해 본격적으로 대출을 신청하면 된다.
전세대출 준비 꼼꼼하게 하면 어렵지 않다!
전세 가계약 후 전세대출을 신청하려면 상품 선택부터 서류 준비, 대출 한도 확인까지 꼼꼼하게 체크해야 한다.
특히 나처럼 청년 지원 전세대출을 활용하면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원 대상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전세대출을 신청하는 사회초년생이라면 위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해 차근차근 준비하면 실수 없이 대출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세대출 신청을 앞두고 있다면 은행 방문 전 철저한 준비로 대출 승인을 빠르게 받아보자!
'1인가구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대출로 이사하기 8편 : 입주일 이사 준비 A to Z 첫 이사도 어렵지 않다! (0) | 2025.03.16 |
---|---|
전세대출로 이사하기 7편 : 전세대출 신청 후 입주일까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0) | 2025.03.16 |
전세대출로 이사하기 6편 : 전세대출신청 완료 후 그 다음 과정도 어렵지 않다 (0) | 2025.03.13 |
전세대출로 이사하기 5편 : 전세계약 가계약금 돌려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3.11 |
전세대출로 이사하기 4편 : 부동산 가계약 후 전세대출 실행까지 (0) | 2025.03.11 |